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 IT (Computer & IT)/Linux

[Linux] /etc/fstab

by UltraLowTemp-Physics 2020. 11. 15.

• 설명: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할 내용을 정의하고 있는 파일 
• 일반적으로 명령어 mount를 이용한 마운트는 임시적으로, 컴퓨터를 재부팅 할 경우, 초기화된다. /etc/fstab은 이러한 mount 설정을 영구적으로 할 수 있도록 존재하는 설정파일이다. 
• 경로: /etc/fstab

1. /etc/fstab 파일의 형태

• 6개의 필드: <File system Device name>  <Mount point>  <FileSystem Type>  <Mount option>  <Dump>

필드 설명
File system device name • 파티션의 위치 혹 주소
• 디바이스의 이름
1) 장치명 혹은 UUID
2) NFS나 SBM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리모트 머신의 디스크를 마운트 할 경우, 호스트 명으로 지정
Mount Point 등록할 파티션을 어디에 위치한 디렉토리에 연결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필드 1) 마운트 시켜줄 디렉토리 경로를 기입
2) 스왑 파티션은 마운트되지 않기 때문에, “none” 또는 “swap”으로 기술함
File system type 파티션 생성시 정해주었던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기입하는 필드 - 파일 시스템의 종류들 
1) ext –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한 종류
      - 현재는 사용x
2) ext2 – 이름이 긴 파일 시스템을 지원
       - 255byte의 긴 파일이름 지원
       - 파일시스템의 크기: 4~32TB
3) ext3 – 저널링 파일 시스템
       -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보안 기능이 크게 향상됨
       - 현재 기본파일시스템으로 쓰임
4) nfs –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으로 사용
5) ramdisk – RAM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
Mount option 파일 시스템에 맞게 사용되는 옵션들을 설정하는 필드들

1) default – rw, nouser, auto, exe, suid 모두 설정
2) (no)/auto- 부팅시 자동마운트 (x)/(O)
3)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4) no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불허용
5) suid – setUID, setGID 사용 허용
6) ro – 읽기 전용의 파일 시스템
7) rw – 읽기/쓰기 전용의 파일 시스템
8) nouser
   • 일반사용자들은 마운트 불가능
   • root만 mount명령어 가능
9) quota – Quota 설정이 가능

Dump 덤프 (백업)가 되어야하는지 설정하는 필드 1) 0 – 덤프가 불가능하게 설정
2) 1 – 덤프가 가능하게 설정 
File sequence check option Fsck에 의한 무결성 검사 우선 순위를 정하는 옵션 1) 0 – 무결성 검사를 하지 않음
2) 1 – 우선순위 1위를 뜻함
    - 대부분 root부분에 설정을 함
3) 2 - 우선순위 2위
    - 1위를 검사 후 2위를 검사

▶ Reference: https://m.blog.naver.com/tjrwjd3535/2207654044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