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 IT (Computer & IT)105

[VIM] scrooloose/syntastic 구문오류 - python vimrc 파일에서 scrooloose/syntastic이 python3 구문 오류를 체크하도록 설정하자. 아래와 같이 두 문장을 .vimrc파일에 넣으면 된다. let g:syntastic_python_python_exec = 'python3' let g:syntastic_python_checkers = ['python'] Reference: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3177561/switch-python-version-for-vim-syntastic 2020. 6. 24.
[Linux] 마운트 (Mount) 1. 마운트란? 리눅스는 하드 드라이브, CD-ROM, USB 등의 물리적인 장치들이 파일 시스템으로 인식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를 액세스 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의 특정한 위치 (디렉토리)에 연결 (할당)을 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마운트라고 한다. (즉, 리눅스 환경에서 “mount”란 논리적으로 디스크와 디렉토리를 붙여주는 것이다.) • 장치를 특정 파일/폴더에 연결 (할당) 한다는 의미란? ex) CD-ROM을 마운트 함: CD-ROM을 마운트 시킨 특정 폴더에 들어가면 해당 CD-ROM의 내용을 볼 수 있음 • 일반적으로 마운트는 /media 혹은 /mnt 디렉토리에 함 • 원격 마운트의 경우, 다른 컴퓨터 상의 디렉토리들에 접속하기 위해서 NFS (Networking .. 2020. 6. 16.
[Linux]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1. /etc/passwd 1) 사용자의 패스워드뿐만 아니라 기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 2) 슈퍼유저만 수정할 수 있음. 3) /etc/passwd의 구성 : 아래와 같이 7개의 필드로 구성이 된다 • 7개의 필드: : : : : : : • 각 필드는 “:”으로 구분된다. • 로그인명, UID, GID, 홈 디렉토리는 반드시 있어야하는 필드이다. ※ Note 1: root 계정은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자이며 항상 UID 0이 할당 ※ Note 2: 리눅스 시스템은 실제 사용자가 아닌 다양한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계정(시스템 계정)들을 만든다. - 시스템 계정이란?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서비스들이 시스템 자원에 접근하는 권한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별한 계정 ※ Note 3: /etc/pass.. 2020. 6. 16.
[Linux]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란? 호스트의 IP 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가 자동으로 네임서버주소, IP주소, 게이트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 - 해당 클라이언트는 일정기간동안 해당 주소를 임대함. 2. DHCP의 표준: RFC 문서에서 정의 3.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 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client/server 모델을 사용함 4. client는 부팅과정에서 DHCP에 IP주소를 요청하고 얻을 수 있음 5) DHCP의 장점 및 단점 - 장점 1)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의 변동사항이 많을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 2020. 6. 9.
[Linux] /etc/hosts 1. 네임 서버란? 모든 인터넷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로 되어있다. 이러한 숫자로 된 주소는 복잡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단히 표기할 수 있는 도메인(Domain)이 주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규약이 생겼다. 해당 홈페이지의 고유 IP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 연결시켜주는 기능이 담긴 것이 네임서버이다. - 영문 도메인을 네자리의 IP주소로 매핑시켜주는 서버를 의미 - 1984년 처음 만들어짐 2. 레드헷/우분투 계열에서는 /etc/hosts 파일을 우선적으로 참고하여 네임서버를 아이피주소로 바꿈 3. 네임서버는 1984년 처음 만들어지기 전에는, 아이피 주소로 접근하거나 각자 매핑 테이블을 관리함. a) 매핑 테이블은 txt파일 형태로 공유 (파일이름이 hosts.txt) b) 현재에는 .. 2020. 6. 9.
[Linux] IP 주소 ▣ IP 주소 1. IP를 사용하는 목적 - 각각의 host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 부여받은 IP는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IP가 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사용해서는 안된다 2. IP 구조 1) IP 주소는 32bit로 구성된 “논리적인” 주소체계이다. (IPv4의 체계하에서 가질 수 있는 IP의 개수: 232 ~ 42억개) 2) IP 주소의 형태 (IPv4): xxx.xxx.xxx.xxx (a) 실제 IP는 2진수로 표기됨 - 8bit씩, 4개의 옥텝으로 표기됨 - △△△△△△△△/△△△△△△△△/△△△△△△△△/△△△△△△△△ (△ = 0 or 1) - 하나의 옥탭에서 0~255까지 사용가능 (= 총 256개) (b) 사람이 외우기 쉽게 10진수의 형태로 표기함 (ex: IP주소 - 2.. 2020. 6. 2.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1. 리눅스 파일 시스템 표준 (FHS: File System Hierarchy Standard) - 리눅스 파일 시스템 표준: BSD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 해당 표준은 비영리 재단인 리눅스 재단이 유지 및 관리를 수행 - 최신 버전: 2004년 1월 29일 발표된 2.3 이다. 위치 이름 설명 / 루트 - 최상위 디렉토리로 기본적으로 리눅스 파티션의 마운트 포인트가 됨 -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나타낼 때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시작함 /bin 바이너리 - 이진파일 (실행파일)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mv, cp, rm 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됨 /boot 부트 - 리눅스의 부트 로더 (boot loader)가 저장된 디렉토리 - 커널과 부팅.. 2020. 6. 2.
[Diskless Cluster] Reference Reference [1] https://m.cafe.daum.net/KingOfLinux/2LGG/138 [2] http://blog.syszone.co.kr/2608 [3] https://wiki.gentoo.org/wiki/Diskless_nodes/ko [4] https://www.hiroom2.com/2017/07/02/ubuntu-1604-pxeboot-thin-client-nfs-en/ [5] https://wiki.kldp.org/HOWTO/html/Parallel-Processing/Parallel-Processing-HOWTO.html [6] https://wiki.kldp.org/Translations/html/Cluster_QuickStart-KLDP/Cluster_QuickStart.. 2020. 6. 2.
[Diskless Cluster] 5. 기타 5.1. Diskless Cluster를 추가할 경우 Diskless Cluster의 장점은 COW와 다르게 계산노드들을 쉽게 추가 및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장에서는 만약 당신이 추가적인 계산노드들을 증설할 경우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해서 다룬다 5.1.1. 준비물 – 추가적인 계산노드들 (계산노드들의 PXE부팅 및 네트워크 카드의 맥주소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5.1.2. 마스터 노드 - /etc/hosts 편집 새로 추가될 계산노드들에게 할당할 사설 IP와 호스트이름을 정해준다 $vim /etc/hosts 127.0.0.1localhost 127.0.1.1cmt-master 192.168.0.1master 192.168.0.2node01 … 192.168.0.9node08 192.16.. 2020. 6. 2.